주식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

내가 주식을 시작하게 된 두 가지 이유를 얘기해 보려고 한다.

  • 시간은 금이다. 아니, 금보다 귀하다.
  • 나보다 똑똑한 사람들에게 맡긴다.

그렇다 하더라도

내가 자본을 늘려야 하는 이유 글을 통해 내가 "내게 주어진 가정"을 얼마나 소중하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만약, 내가 가족의 부양을 위해서 "부업"으로 많은 시간을 소모한다면 나와 내 가정이 행복할 수 있을까?

처음 현재 근로 외 소득을 위해서 부업이나 수익 자동화 시스템을 생각했었으나 이러한 시스템은 좋든 싫은 하루 30분이라도 시간을 소비해야 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 보니 이 방법은 내가 원하는 게 아니었다. 나는 가족들과 더 행복한 시간을 만들기 위해서 소득을 늘리려고 했던 것이지 돈이 급해서 혹은 돈 자체에 목적이 있어서 시작한 게 아니었다.

그래서 "돈이 돈을 번다"라는 말처럼 내가 많은 시간을 쏟지 않더라도 스스로 불어나는 구조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처음에는 좀 작은 금액이어도 괜찮다. 스노우볼처럼 구르고 구르다 보면 내가 여유를 살 수 있을 정도로 적당한 금액이 들어오기 시작할 테니까

세상에 거인은 많다 그럼 나는

"If I have seen further it is by standing on ye sholders of Giants."
"내가 멀리 볼 수 있었던 것은 거인의 어깨 위에 있었기 때문이다."
-아이작 뉴턴-

내가 좋아하는 문구다. 뉴턴이 처음 한 말이 아니라고 하는데, 그 말을 뉴턴이 했는지는 내게 중요하지 않다. 어쨌든 뉴턴 같은 위인도 이 말에 공감했다는 것이다.

나는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6년의 개발자 커리어를 쌓으면서 늘 생각하는 사실이 있다. 바로 "세상에는 나보다 똑똑한 사람이 많다"라는 것이다.

세상에서 1등이 되는 것, 혹은 그에 준하는 엘리트가 되는 것은 정말 멋진 일이고 자신을 사랑할 수 있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현실의 나는 그렇지 못할 때가 많다. 내가 속한 작은 조직에서, 혹은 내가 잘 아는 어떤 좁은 분야에서 조금 특출날 뿐이다.

그래서 나는 나보다 똑똑한 사람의 등에 얻어 탄다. 세상에 잘 만들어진 수많은 개발 라이브러리들이 있듯이, 작은 금액으로 그들의 노력과 기술을 살 수 있듯이, 나는 세상에 있는 거인들을 통해 좀 더 먼 곳을 손쉽게 볼 수 있다. 내가 거인이 되지 않더라도!

몇 년 전 OpenAI가 ChatGPT를 선보이고 전 세계가 열광했을 때, 나는 이걸로 어떤 재미난 것들을 할 수 있을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OpenAI의 열광을 보고 AI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만약 내가 AI에 대한 관심이 개발자의 시선이 아니라, 투자자의 시선이었다면 나는 꽤 많은 수익을 얻었을 것이다. 개발자로서 AI를 활용해 무언가를 만드는 건 꽤나 어려운 일이지만, 성장하는 AI 회사에 투자하는 것은 몇 번의 터치만으로 손쉽게 되는 일이다. 그렇다면 투자를 먼저 해두고 내가 하고 싶은 걸 해도 됐을텐데 말이다.

왜 주식이었을까

세상에 주식만큼 손쉬운 투자는 없는 것 같다. 오죽하면 주식시장을 "자본주의의 꽃"이라고 부를까? 조금 더 일찍 깨달았다면, 조금 더 관심을 가졌었다면, 조금 더 두려워하지 말았다면 오늘의 나는 지난 세월의 나보다 10% 정도는 더 부유한 나였을지도 모른다.

후회는 언제해도 늦었다. 하지만 시작은 지금이 가장 빠르다.

Subscribe to golog

Don’t miss out on the latest issues. Sign up now to get access to the library of members-only issues.
[email protected]
Subscribe